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천식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만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4. 천식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가슴에서 색색거리는 소리가 들리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됩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5% 정도가 천식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천식의 증상
기침·가래, 호흡곤란, 쌕쌕거림
  • 기침·가래
    기침·가래
  • 호흡곤란
    호흡곤란
  • 천식
    쌕쌕거림
천식의 일반적인 증상
  • 기침: 발작적이고(갑자기 나타나는 증상) 밤에 더 심하게 나타남
  • 가래: 끈끈하고 덩어리가 진 가래
  • 천명: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 흉부 압박: 가슴을 조이는 듯한 답답한 느낌
  • 호흡 곤란: 빨대를 입에 물고 숨을 쉬는 것처럼 숨이 차는 현상
천식 증상의 진행
천식 증상의 진행 이미지 - 기관지에 염증발생 후 기관지 점막이 붓는 현상 후 기관지 근육 경련 및 수축 후 폐기능 악화
천식 증상의 진행 이미지 - 기관지에 염증발생 후 기관지 점막이 붓는 현상 후 기관지 근육 경련 및 수축 후 폐기능 악화
천식의 증상
유전적 요인
  • 부모 중 한쪽이라도 알레르기 질환을 보유하고 있다면 자녀에게 천식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져요.
환경적 요인
  •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원인물질에 자주 노출된 경우
악화요인
  • 감기, 운동, 화학물질, 흡연, 대기오염 또는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애완동물 털과 비듬 등
오해와 진실
천식은 전염될까요?
천식은 유전적인 소인과 환경요인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폐와 기관지에 나타나는 병으로, 기침이 나고 숨을 잘 쉴 수 없고 가슴이 답답한 질환입니다. 따라서 천식은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되지 않습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주의사항
운동할 때
  • 과격한 운동은 피함
  • 차고 건조한 공기는 피함
  •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해당 계절에는 체육시간에 주의 필요
  • 준비운동 철저히, 운동은 서서히 마침
  • 호흡곤란이나 기침이 발생하면 운동중지
청소할 때(학교)
  • 먼지털이, 진공 청소, 페인트칠, 방향제 스프레이 사용은 천식 학생이 없을 때 시행
  • 천식 학생이 교실에 들어오기 전에 환기
  • 천식 학생이 직접 청소하는 경우, 반드시 마스크 착용
예방관리 수칙
  • 실내는 청결하게 유지하고, 대기오염이 심한 날은 외출을 삼가거나 마스크 착용하기
  • 비염의 원인 및 악화 요인을 검사로 확인한 후 회피하기
  • 금연하고, 간접흡연도 최대한 피하기
  • 감기 예방을 위하여 손 청결히 씻기
  •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방법으로 꾸준히 치료하기
출처
출처 이미지